- 특색 사업
- 창의 ∙ 소통 역량을 기르는 그린 스마트 학교 운영
연구학교운영
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 현장 적용 방안 연구
- 온라인 콘텐츠 활용
교과서 현장
적용 기반 조성 -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 활용을 위한
물적 환경 구축 -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 활용을 위한
교원 역량 강화 - 온라인 콘텐츠 활용을 위한 학생・
학부모 역량 강화
-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
‘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’
적용 프로그램 개발(교과) - 상호작용이 활발한 교과수업
프로그램 개발 - 함께 성장하는 융합 수업
프로그램 개발
-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
‘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’
적용 프로그램 확장 - 스스로 성정하는 학급 자치 활동
프로그램 개발 - 지역 자원과 연계한 동아리 활동
프로그램 개발
융합교육 (STEAM)
스스로 실생활 문제 해결을 즐기고 도전하는 인재 양성
- 창의와 소통 역량을 기르는
슬기로운 학교 생활 - 공존, 함께 하는 세상
-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생태 시민
- 배움과 돌봄의 배움터 공간 만들기
- 미래 교육을 향한
융합학습 공간 조성 - 생태 중심의
Geodesic Dome 프로젝트 - Rainbow 융합축전
- 학생 참여형 공간 감수성
Insight Tour 프로젝트
- 지.키.자
교과통합 프로젝트 - Body
- Temperature
- Spirit
공간혁신
공간감수성을 키우는 융합복합문화공간 조성
- 미래역량강화 융복합문화공간
- SW교육을 통해 미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미래형 학교도서관
- 다양한 수업이 가능한 매체/협동형 개벌+팀별+대집단 수업공간
- 학생의 다양한 끼를 발산할 수 있고, 소규모 행사 및 강연이 가능한 융복합문화공간
- 교육공동체가 함께하는 공간감수성
- 학생, 교사, 학부모가 참여하는 공간
혁신공동체 연수 운영 - 학생 참여형 공간감수성
Insight Tour 프로젝트 - 학교 교육공동체의 민주적 합의와
소통을 통한 사용자 참여 설계 현실화
- 주제중심 융합교육강화
- 학교 교육공간 재구조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의식, 협업능력, 비판적 사고력,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 시키는 미래형 교육활동을 강화
- 미래형 교육활동인 범교과적 배움과 나눔, 주제 중심의 융합 교육 강화
기후환경, 생태교육
자연과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환경교육
- 생태감수성 강화
기후위기, 생태환경에 대한 문제 인식 - 학생 환경지킴이, 에너지지킴이 운영
- 기후위기 심각성 관련 영상 분기별 1회
- 환경보호 주간과 연계한 ‘그린데이’ 운영
- 기후환경․생태교육 관련 봉사활동 실시 및 캠페인 활동
- 환경・생태 주제 융합 수업
기후위기, 생태환경 교육과정 운영 - 교과 수업과 연계하여 기후환경 생태교육 필수 운영
- 학년별 전학공 환경을 주제로 융합 수업 프로젝트 실시
- 환경․생태교육 실천 수업 나눔 협의회
- 실천중심의 생태교육
체험 중심 환경교육 실시 - 삶을 가꾸는 생태학습장(학교 텃밭 분양, 학교 숲) 조성
- ‘푸르미 원정대’를 운영하여 환경・ 생태 현장 체험활동 실시
- 환경 테마 진로체험활동
(목공, 천연제품 등)
- 노력중점
목적
학생 개개인의 행복 증진과 교육적 성취 제고를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, 이를 위해 보편복지와 선별 복지의 균형을 통해 ‘함께 누려 더 큰 행복’을 추구하며, 학생, 학부모, 교사 간의 강한 정서적 지지 관계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교육적 비상을 돕는다.
방침
- 1) 본교의 교육 비전과 연계한 교육활동 지원하도록 한다.
- 2)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과 교육적 성장을 지원한다.
- 3) 관계 중심의 동행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강화한다.
- 평등한 돌봄
- 사제동행 멘토링
‘우리들의 행복한 시간(우행시)’ - 너와 나의 연결고리
(그린데이, 애플데이) - 위기학생지원 정신건강 의료지원
‘토닥토닥’ - 집단 상담을 통한 ‘마음 톡톡’
- 찾아가는 상담
- 질 높은 배움
- 성적향상프로젝트 ‘공부나누미’
- 기초학력향상 대학생 멘토링
- 독서활성화 ‘나는 독서왕’
-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
- ‘행복한 동행’ (1학년)
- 행복한 동행! 행복한 나눔!(2학년)
- 진로 찾아 떠나는 ‘꿈길’(3학년)
- 디지털 인재육성 프로젝트
- 따뜻한 교육공동체
- 생태․환경지킴이 ‘푸르미원정대’
- 감성 충전 밴드부 ‘유레카’
- 사제동행 스포츠 활동 ‘넘어차기’
- 장애학생과 함께 하는 통합교육
- YouTube드라마 촬영 동아리
‘Y.T.D’ - ‘온새미로’ 독서동아리
- ‘책 우연한 현실’ 독서동아리
기대효과
-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복지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이를 수업활동에 적용함으로써 교육력이 제고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.
- 다양한 학습지원 및 문화 체험활동의 참여를 통해 교육취약 청소년들의 문화적 결핍을 방지하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여 학교 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.
- 사제동행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현실적인 진로 설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학생 개개인의 꿈과 성장에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.